<귀농학교 오픈강좌>

간디학교 안희창 교장 선생님

 

 

 

제가 삶을 살아가는 이유는 2가지입니다.
하나는 아이들의 맑은 눈빛이며 또 다른 하나는 제천의 아름다운 별빛입니다.

 현 시대의 대학생은 비물질적 노동을 하지 않습니다.
오직 자신의 안전과 생존을 위하여 노동할 뿐이지요.

고등학생들은 2만개의 직업 중 20개의 직업을 선호하며 2%만이 성공합니다.
패배자를 양상하는 시스템이지요.
공부하는 이유를 물으면 대부분 '돈을 벌기 위해서, 엄마가 시키니까' 라는 대답입니다.

88년 자살을 한 여중생은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라는 말을 했습니다.무엇이 진정한 행복일까요?


지금은 불공평한 사회입니다.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이젠 옛말이 되었습니다. 출발선이 다른거지요.

교육은 희망과 꿈입니다.
강남 고3담인 선생님이 연수를 오셨습니다.
자신의 제자들에게 가장 많은 말을 하는 것은 '꿈깨라, (성적이) 올랐네? 내렸네?'라는 말이라고 합니다.

교육은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어야 합니다.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첫째, 삶을 기획하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삶의 패턴은 초 -> 중 -> 고 -> 대 -> 직장 -> 퇴임 -> 장사 -> 병 -> 죽음 입니다.
이 패턴을 최대한 빠르게 넘어가야 잘 살아가는 것입니다. 절대로 쉬면 되지 않아요.
각 단계마다 다음단계에 행복할 수 있다는 조건을 내걸지만 실제로는 우리의 욕망이 그렇게 길들어져갑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공부도 각 단계를 살아가고 욕망에 길들어지는 것이지 이 구조를 파악하고 생각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닙니다.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기획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창의적인 배려가 있어야 합니다.
찐짜 관심은 애정입니다.
애정에서 배려가 나옵니다. 우리는 배려를 잃어버렸습니다.
배려는 능력입니다.


셋재, 함께 살아가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라는 말이 맞습니다.
대안을 창출해야 해요. 무명의 대안이요.

키워드는 '저항, 대안, 공동체'입니다.
연대의 힘을 만들어야 합니다.

간디학교는 고3 1학기 때 외국에 견학을 갑니다.
간디학교는 배우는 길을 걷습니다. 이것은 기득권을 포기하면 됩니다.
다르게 걷는다면 세상은 분명 바뀔 것입니다.

 

리뷰

대안학교에 대한 막연한 관심은 제 삶에 조금씩 생겨났습니다.
먼저 기청아 강의를 통해 기독교인이라면 살아가는 것도 달라야 된다는 도전과
신자유주의에 꿈과 희망을 배울 수 없는 공교육에 대한 현실을 막연하게 인식해왔기 때문입니다.

대안학교에 대한 강의는 2번째입니다.
지난 나눔문화포럼에서 강의를 들었었고 이번이 2번째 강의입니다.

후에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게 된다면 꿈과 희망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을 할 것입니다.
이 길을 혼자 가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 걷고 있음에 감사합니다.

또 하나.
농촌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됩니다.

농촌에서의 삶이 막연하고 잘 모르기 때문에 저의 부르심은 도시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강의를 들으면서 농촌 도서관 학교와 같이 꿈과 희망을 가르치고
지역주민을 주선할 수 있는 사회사업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요.

철암의 김동찬 선생님이 생각납니다.

 이 길, 신실하게 걸어나가겠습니다.


Posted by 권 대익
"도시에 사는 사람은 가슴에 총칼을 품고 살아갑니다"

이제 우리 흙을 밟으며 살자 _ 윤구병 | 농부철학자

 

<위에 사진에 제 얼굴이 있어요~^^>

 
있어야 할 것이 없고, 없어야 할 것들이 판치는 세상

참, 거짓은
아 있는 걸 있다고 하고 없는 것 없다고 하는 것이 참이요, 있는 걸 없다 하거나 없는 걸 있다 하면 그게 거짓입니다.

 

좋다, 나쁘다는
있어야 할 게 있고 없어야 할 게 없으면 좋은 것이고,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없어야 할 것이 있으면 나쁜 것입니다.

우리의 세상은 어떠합니까?
있어야 할 것이 없고, (자유, 평등, 평화, 우애, 관용)
없어야 할 것이 있는게 더 많은 세상아닙니까? (전쟁, 공포, 탐욕, 이기심)


사랑의 이름으로 아이들을 집단학살 하지 마시오.

부모들은 사랑의 이름으로, 학교 선생은 교육의 이름을 들먹이지만
그저 모든 아이들을 집단학살 하는데 앞장서고 있을 뿐입니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조기교육은 오로지 걸음마와 말 뿐입니다.

어려서부터 몇십시간씩 책상에 앉아 머리를 쓰는 것을 가르칩니다.

몸을 쓰는 것을 가르치기보다 머리를 굴려서 살아가라고 가르칩니다.

 

지금 농촌의 현실은 굽어진 허리를 펴지 못하고 하루종일 일하는 노인뿐입니다.

농부 한사람이, 도시의 20사람을 먹여 살리는 구조이지요.

 

농촌, 변산 공동체, 학교

변산 공동체에 대해 말씀해주셨어요.
강의 마지막 3박4일 정도는 방문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전화번호를 잘 못들었네요. ㅠㅠ

변산 공동체 학교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한시간이라도 더 공부시키려는 세상에서 오전에 딱 3시간만 공부를, 오후에는 몸을 놀려 하는 일을 배우는 학교.

교육내용 역시 피부와 삶과 경험으로 다가오는 공부를 배웁니다.

 

대안교육, 대안학교.

아직은 나에게 먼 미래의 일인 것 같지만 차근차근, 잘 준비하고 소망해야겠습니다.

 

참으로 평화를 사랑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삶을 살겠다는 이야기하는 사람은

도시에서 그런 정신을 지켜내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생명체와 늘 상호협동의 관계를 맺는 형태여야 합니다.

 

언젠가 도시에서 자급자족이 되지 않을 때, 도시사람은 농촌에 관심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지금의 모습처럼 농촌이 흘러 간다면 생존을 위해서 제국주의적 방식으로 농촌에 사는 사람을 식민화하고 착취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젊은 사람이 와서 농사를 짓지 않으면 지금 노인들 10년 이내에 노동력 상실하거나 죽습니다.

 

농촌에 대한 막연한 관심이 있었습니다.

조금씩, 조금씩, 농촌에 대한 마음을 함께 품어가봅니다.

 

-------------------------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떠한 길로 갈 것인가?

 

마지막에 '믿습니까?' 라는 질문이 참 기억에 남습니다.

 

이 세상의 흐름은 머리를 쓰라고, 더 바쁘게 일을 하라고, 무엇인가를 하라고 말하지만

이러한 흐름을 거슬러 사는 것,

가능할까요?

 

믿습니다. 믿습니다!


Posted by 권 대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