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0일 동인천 서당골(상상) 도서관에서 진행한 

양원석 선생님의 '책읽고 글쓰는 사회복지사'라는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다녀왔습니다.

 

서당골 도서관 소개글 바로 가기  

 

현장 실무자 선생님들과 서울신대 후배들까지 10여명 정도 모였습니다. 

 

삼성소리샘복지관 정춘진 선생님과 사모님께서 떡과 과일, 식혜를 준비해주셨고 

집중해서 유익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양원석 선생님께서 하신 강의를 요약 기록하여 공유합니다.

 

 

 

 

 

 

#1. 사회복지사의 책읽기, 왜 중요할까?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가치와 철학이 명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며, 더 나아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습니다. 

 

 

 

지식과 기술, 가치와 철학 중에 무엇이 더 중요할까요? 

 

가치와 철학이 있을 때, 지식과 기술이 있으면 그만큼 더 좋겠지만 

가치와 철학이 없는데 지식과 기술만 있으면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가치와 철학이 있으면 열정이 있게 되고 지식과 기술은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치와 철학이 없이 지식과 기술이 반짝 앞서 간다고 하더라도

이후에는 열정이 없어지거나 바르지 못한 일을 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사회복지를 한다고 하면 좋은 일을 한다고 합니다.

 

은연 중에 이 말에는 사람을 대하는 사람이고 사람을 사람답게 돕는 사람이기 때문에

도덕적, 가치관으로 기대하는 바가 높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을 많이 만나게 되면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치와 철학이 없이 복지기관에서 오래 일하게 되면 사람을 함부로 대하는 모습도 볼 수 있어요.

 

반면 복지관에서 처음 찾아오는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행동이 당사자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까 조심합니다.

이것이 사람에 대한 민감성이 살아 있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의 이 민감성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요?

 

다양한 것이 있겠지만 저는 그 중 중요한 것이 바로 책읽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주변에 좋은 동료들이 많아 내가 잘못하고 있을 때 적극적으로 직면시켜주고 돕는 사람이 있으면 좋지만 한국사회 특성상 남에게 싫은소리 하기가 어렵습니다.

 

렇기 때문에 사람다움과 사회다움을 위해 일하는 사회복지사라면

적극적으로 자신을 다듬고 자신의 생각을 점검하기 위하여 책을 읽고 글을 써야 합니다.   

 

 

 

 

 

 

#2. 가치와 철학이 사회사업가답게 실천할 수 있는 힘입니다.

 

 

주변에 사회복지 실천을 하시는 분을 만나보면

'어렵다, 힘들다, 이 상태로는 힘들다'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런 상황을 어떻게 돌파해야 할까 생각해보면 악순환의 반복입니다.

우리가 선택해서 일을 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요구하는대로 일을 하게 구조이지요.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니 힘든겁니다.  

 

요구받는 대로 하다보니 외부의 요구도 더욱 늘어나고

우리는 계속해서 사회복지사 정체성에 맞지 않는 일을 반복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악순환은 끊어내기 위해서는

지금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자기 자신을 던져 사회사업 다운 것을 실천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실천하다보면 핍박(?) 받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기에게 내적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에너지는 결국 가치와 철학입니다.

이것이 없으면 다른 사람의 평가에 신경쓰게 됩니다.

 

가치와 철학이 바로 서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 바로 서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잘 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사회복지사가 책을 통해 가치와 철학을 세우고

글로 써서 다듬고 공유하는 것이 악순환을 끊는 시도를 할 수 있는 바탕이 됩니다.

 

 

 

 

 

 

#3. 성찰하는 독서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책의 종류는 3가지입니다.

 

하나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기술과 방법을 알려주는 책과

감성적으로 읽는 책이 있습니다. 

   

이 두가지 책은 모두 중요하지만 이보다 좀 더 깊이 있는 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류역사를 통해 인간과 사회가 무엇인지 변하지 않는 근본적인 것을 말하는 책입니다.

 

이것이 바로 고전입니다.

고전을 통해 사람다움, 사회다움을 알게 되면

앞서 말한 감정과 이성을 자극하는 책으로도 충분히 내용을 뽑아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 어떻게 고전을 읽을까?

 

 

고전을 좀 더 쉽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같은 수준의 사람들과 함께 읽는 것입니다.

혼자 읽는 것보다 몇 명 사람들과 함께 읽으면서 조금씩 성장해 갈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고전을 해설해주는 책을 읽는 것입니다.

우리시대의 고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자기 생각대로 읽어주는 책인 것이지요.

 

이렇게 익숙해지다보면 원문을 읽고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어요.

 

 

 

제가 가장 많이 성장하게 된 계기는 

한덕연 선생님과 '고전에서 사회복지 읽기'라는 주제로 공부를 했을 때였습니다.

 

이 때 저에게 일부 진행을 맡기셨고

제가 진행하기 전에 좀 더 이해를 해야 하고 원고를 써서 설명을 해야 했기 때문에

준비하면서 저의 깊이가 더욱 깊어지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에게 나누고 발표하고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더 깊게 읽고 생각하며 점검을 하게 되었고 더욱 성장 할 수 있었습니다. 

 

 

 

 

 

 

#5. 책을 읽으며 나의 언어로 표현합니다.

 

 

저는 책을 읽을 때 지저분하게 읽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동감하거나 생각할 부분은 밑줄을 치면서 읽고

그 부분에 대한 나의 생각을 메모를 하며 책을 읽습니다.

 

 

이 때의 메모는 저자의 맥락만 받아들이고 나의 언어와 생각으로 글을 적습니다.

이것이 나의 지식으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저자와의 생각이 똑같아져버립니다.

 

 

 

여러분이 짧게라도 글을 써보면 좋겠습니다.

 

내용을 이해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글로 쓰려고 하면 잘 써지지 않습니다.

글을 써봐야 내가 이해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야 가치와 철학을 다듬을 수가 있습니다.

 

책을 읽고 밑줄을 친 부분에서 자신의 언어로 다시 표현해 보는 것이지요.

 

이렇게 글을 쓰다보면 한 단락의 글을 쓸 수 있게 되고

단락이 모일 때 장문의 글, 책이 될 수 있습니다.

 

 

 

 

 

#6. 글쓰는 목적은 나를 다듬기 위함입니다.

 

 

저의 글쓰는 목적의 첫번째는 저를 다듬기 위해서입니다. 

일일히 하나씩 이야기 할 수 없기 때문에 글로 쓰고 파급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글을 잘 못쓰는 것은 

자신이 틀렸을까봐, 자신의 수준이 낮다고 평가 받을까봐입니다. 

 

 

 

저는 글을 쓰고 공유할 때 두려움이 없었습니다. 

못하거나 잘못된 것이 발견할 때 고칠 수 있었고 이것이 발전을 위한 초석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때 다음 아고라에 적극적으로 글을 쓴 것도 

타인에게, 나와 다른 논리가 있는 사람에게 배우고 다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더욱 솔직하게 글을 썼습니다.

 

 

 

정말 나를 다듬기 위한 글이었다면

다른 사람이 주는 비판에 대한 태도가 중요합니다.

 

다음 아고라에 쓴 글에 대한 부정적인 댓글도 

겸손하게 진심으로 댓글을 달았고 그러면서 성장했습니다.

 

 

 

 

이렇게 할 때 부수적인 효과가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나를 위해 글을 쓰니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게 된 것입니다.

 

 

 

양원석 선생님께서 사회복지 팟캐스트를 시작하셨습니다.

 

강의 전체를 녹음, 편집하여 팟캐스트에 올라와있고 누구나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welblog/328

 

 

 

Posted by 권 대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