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5일(화) ~ 5월 16일(수) 인천시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 심화교육에 다녀왔습니다.
교육 일정 바로가기
사례관리의 근본과 마땅함에 대해서 배웠고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셨는지 좋은 사례를 들었고
인천지역에서 뜻있게 해보시려는 좋은 선생님들을 만났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기록하고 공유합니다.
#1. 사례관리의 홍수 속에서
사회복지현장에서 사례관리가 홍수처럼 밀려들고 있다고 합니다.
많은 복지관에서 사례관리 업무를 중요시하고 많은 업무들이 쏟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사례관리의 근본과 마땅함을 생각합니다.
사례관리의 홍수 속에서 어떻게 일할지 가치와 철학을 생각합니다.
작년 한덕연 선생님께 사례관리 세미나를 들었고
김세진 선생님의 주선으로 사례관리 양식 간소화를 위한 팀장 모임에도 참석하였습니다.
구슬 꿰는 실무 워크숍, 복지관 사례관리 팀장 모임 ① 바로가기
구슬 꿰는 실무 워크숍, 복지관 사례관리 팀장 모임 ② 바로가기
사례관리에 대해서 조금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
실무자는 아니나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
김세진 선생님께 부탁을 드렸고 교육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2. 기조강연 : 종합사회복지관의 정체성과 그에 따른 사례관리 실천
사례관리를 논하기 전에
사회사업가와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세워야합니다.
복지사업이 아닌 사회사업을 하는 것이
사회사업가와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입니다.
개인의 문제를 치료하는 임상치료사나
사회구조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운동가와 달리
환경 속의 인간을 생각하고 접근 하는 것이 사회사업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사자와 지역사회를 분리해서 사회사업을 생각 할 수 없습니다.
당사자가가 주체가 되고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도록 돕는 자주성과
지역사회의 관계와 소통을 살리는 공동체성(공생성, 사회성)이
사회사업가로 지키고 살려야할 가치입니다.
경로식당사업, 나들이사업, 후원물품사업 등 복지관 사회사업에서
자주성과 공동체성이 녹아있어야 합니다.
사례관리에서 당사자와 합의된 욕구를 기록합니다.
인지적 욕구, 표현의 욕구, 규범의 욕구, 전문가 욕구 등이 있겠으나
처지, 역량, 기회비용, 가용자원 등 사회사업가 쪽의 욕구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좋지 않은 것을 해소, 회피하려는 소극적 욕구보다
좋은 것을 바라거나 성취하려는 적극적인 욕구를 살려 도우면
문제까지 해결, 해소, 완화 될 수 있습니다.
사회사업가가 당사자에게 개입할 때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여 당사자가 이를 느끼고 표현할 수 있도록 거들어야 합니다.
이것이 안전장치입니다.
이와같이 사회사업가로 뜻을 세워서 일을 하자고 하셨습니다.
#3. 사례관리 발표
뜻있게 사례관리를 하고 계신 3분의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정수현 선생님
관악교육복지지원센터 박인미 선생님
구미종합사회복지관 문미숙 선생님
20분씩 간단하게 사례를 듣고 조별로 흩어져서 더 깊게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앞서 기조강연에서 들은 것처럼
당사자와 지역사회와 함께 사회사업을 하신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소극적 욕구에 집중하기보다
당사자의 강점과 가능성을 살펴 이를 통해 적극적인 욕구를 해결해 간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저는 박인미 선생님 그룹에서
'강점관점 사례관리 기록'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사례관리 기록에서 당사자의 문제에 집중하는 기록이 아닌
변화하는 과정과 가능성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렇게 기록을 하니 기록하는 시간이 기다려지고 즐겁다고 하셨어요.
복지관에서 주어지는 엄청난 행정기록을 이렇게 해보고 싶습니다.
#4. 소진과 타성 앞에서
사회사업가로 일을 할 때 밖에서 주어지는 에너지가 없으면
소진되거나 타성에 젖기 쉽습니다.
에너지가 고갈 소진되어 소진되거나
가늘고 길게 살자는 타성에 젖게 되는 것이지요.
타성과 소진을 막기 위해서는
사회사업가의 열정을 계속해서 태울 수 있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한 3가지 방법이 있는데
당사자와의 인간적인 만남, 전문가와의 교류, 동료와의 네트워크입니다.
먼저 문미숙 선생님의 사례처럼 당사자와 인간적인 만남을 갖는 것은
소진과 타성을 막는 좋은 배경이 됩니다.
그리고 오늘의 세미나처럼 함께 교육을 받거나
책을 통해 가치와 철학을 생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동료와의 관계입니다.
기관 안에서 만나는 동료들도 좋으려니와
다른 기관에 있는 동료들과 네트워크를 맺으며 지지하는 것은 큰 자산이 됩니다.
#5. 워크숍 : 당사자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례관리
둘째 날 오후, 참여하신 선생님들과 실무 워크샵을 하였습니다.
먼저 함께 워크숍을 할 수 있도록 각자의 현장에서 맡고 있는 사례를 나눠달라고 하셨어요.
다섯 분의 선생님께서 현재 기관에서 맡고 있는 어려운 사례를 나누어주셨습니다.
하나같이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마치 TV에서나 볼 수 있는 정말 어려운 사례였어요.
이렇게 거대한 문제가 있는 당사자의 사례 앞에서
사회복지사로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지,
문미숙 선생님처럼 강점을 찾아 적극적 욕구를 해결 하는 것이 가능할지 막막했습니다.
하지만 김세진 선생님께서
오히려 문미숙 선생님의 장씨 아저씨, Y씨 이야기가 객관적으로 더 어려운 사례일 수도 있다고
워크숍을 통해 듣고 배운 것을 적용해보자고 하였습니다.
제가 속한 그룹은 북한이탈주민 한부모 가정의 이야기였습니다.
6명이 한 조가 되어 함께 시나리오 작업을 하였습니다.
시나리오 워크숍 내용 바로가기
이렇게 많은 문제가 있는 당사자에게서 어떻게 강점을 찾고 도울 수 있을까?
함께 머리를 맞대로 상상하며 작업을 하니 어렵지 않게 해결해갈 수 있었습니다.
#6. 강점관점 사례관리 세미나, 풍성했습니다.
이틀 동안 사례관리 세미나 풍성하게 배웠습니다.
사회사업가와 복지관의 정체성을 생각했고, 강점 사회사업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여러 실무자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장의 이야기를 더 생생하게 들었습니다.
사례관리가 어렵고 힘들다고 하나
이렇게 뜻을 세워 일하시는 실무자 선생님을 만나니 감사했습니다.
저도 현장에서 이렇게 일을 하고 싶습니다.
세미나를 들을 수 있도록 주선해주신 김세진 선생님과 담당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